이재현석사과정
- University of Illinois Urbana Champaign,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s 학사 (2021)
탄소중립인프라
핵심광물
에너지저장시스템
분석평가
기후정책
이재현 학생은 녹색전환에 핵심적인 전력 에너지 인프라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석사과정 입학 이전에 진행했던 핵심광물 공급망 동향 평가 및 국제 정책 분석의 경험과 탄소포집(CCS) 기술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고정형 에너지저장시스템(Stationary ESS) 확충을 위한 기술적 연구와 경제성 및 정책적 타당성 측면의 분석 평가 사이의 연결점을 찾는 연구에 초점을 맞춥니다.
이정미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과학기술경영 학사(2023)
기후리스크
지속가능전략
기후금융
이정미 학생은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후 리스크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는 기후변화와 에너지 시스템에 대해 종합적인 기반을 다졌으며, 기술 경영에 대해 공부하며 기술의 발전에 대해 이론적인 공부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융합적인 공부를 통해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 리스크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기후리스크 중 기술 리스크에 집중하여 기후변화 속 지속가능한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현지석사과정
- 가톨릭대학교 경제학 학사, 회계학 학사 (2023)
ESG 공시
지속가능 금융
기후파이낸스
이현지 학생은 ESG 데이터 분석을 통해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영 전략 및 투자 관련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특히 기후변화가 기업 재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탄소중립 이행 방안을 탐구하고자 합니다. 이전에는 ESG 컨설팅 및 그리드위즈에서 근무하면서 ESG 분야의 실무 경험을 쌓았습니다.
조은빈석사과정
- 성균관대 영어영문학, 데이터사이언스 학사(2018)
재생에너지
수요반응
탄소배출량
국제협력
조은빈 학생은 에너지 문제를 데이터로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이끄는 에너지 전문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연구중입니다. 그녀는 데이터농업 스타트업에서 지속가능한 농식품에 대한 경력을 쌓았으며 UN의 ESG기구에서 기업들의 ESG 경영 활동을 도왔고 특히 RE100, SBTi, CoREi 등과 같이 기업의 재생에너지 분야에 일조하였습니다. 그녀는 성균관대 내 환경 동아리 설립, 동네 식당 협업 등으로 주변 사회에 변화를 이끄려고 노력했고, 현재는 수요관리와 기업의 스코프3 배출량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다형석사과정
- 전남대학교 바이오에너지공학과 학사 (2025)
수자원
urban
저탄소
최다형 학생은 학부에서 바이오에너지공학을 전공하였으며, 수자원 관리, 재생에너지, 기후 변화 대응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또한 저탄소 수질관리 시스템을 비롯한 지속가능한 환경기술과 에너지 시스템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한다혜석사과정
- Bachelor’s degree in Global Affairs, George Mason University (2023)
기후변화 대응
환경 정책
environment justice
한다혜 학생은 학사과정에서 국제학을 전공하고 환경과학을 부전공하였으며, 기후변화 적응, 환경 정책, 그리고 환경 정의에 관심이 있습니다. 기후변화 적응에서 환경 정의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적 가치에 기여하는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