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호성석사과정
폐기물 자원화
생분해성 플라스틱
환경미생물학
문호성 학생은 학부 과정에서 생명과학을 전공하고 건설 및 환경공학을 부전공으로 이수하였으며, 현재 미생물을 활용한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기술, 특히 플라스틱의 생분해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폐기물 처리 방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박시은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학사 (2023)
기후관련투자리스크
금융모델링
수익성분석
지속가능금융
박시은 학생은 asset level의 기후 관련 투자리스크를 분석하고, 이를 위한 금융모델을 개발하는 것에 관심이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을 공부하면서 기후 위기에 의한 잠재적 영향을 정량화 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했고, 이와 관련하여 민간기업의 기후리스크 관리모형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 참여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GGGS에서 학제간 연구를 통해 기후 위험 평가 프레임워크를 고도화하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박태민석사과정
차세대 배터리
Li metal
Li - rich Cathodes
박태민 학생은 학부 과정에서 신소재공학을 전공하였으며, 차세대 배터리 소재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현재는 Energy Conversion & Storage Materials (ECSM) Lab에서 공부하며, 기존의 리튬 이온 배터리보다 에너지 밀도 혹은 안정성이 향상된 배터리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백승일석사과정
에너지신사업
에너지 수요 예측 및 관리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
백승일 학생은 학부과정에서 환경공학을 전공했으며 에너지분야와 환경분야에 대한 능통한 전문가가 되고자 합니다. 이에 대한 일원으로 에너지 문제를 분석하고 에너지 수요를 예측하는 등 이를 바탕으로 신재생에너지 신사업을 이끄는 에너지 전문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부연구생 시절 경험했던 LCA 방법론을 바탕으로 Scope 3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고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변지원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학사, 통계학과 학사 (2025)
탄소배출 관리
Scope 3
지속가능전략
Publication
-
Yu, Mirae, et al.(2024), Energy, Techno-Economic Analysis, and Life Cycle Assessment for Co-Gasification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Olive Husk by Chemical Process Simulation.,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vol. 295
변지원 학생은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와 Scope 3 배출량 예측, 이를 기반으로 한 지속가능전략 수립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 에너지 시스템의 전반적 이해와 통계학을 공부하며 데이터과학의 기초를 다졌으며, 현재 기업 데이터를 활용한 공급망 탄소배출 관리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성예은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 특화소프트웨어 학사 (2024)
컴퓨터비전
ClimateAI
EcoAI
성예은 학생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딥러닝을 사용하는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특화소프트웨어공학을 함께 배우며 기후와 인공지능 두 분야를 접목하는 것에 대한 흥미를 가지게 되었으며, 기상 및 기후 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는 경험을 통해 융합적인 사고를 키웠습니다. 현재는 딥러닝 중에서도 컴퓨터비전 기술에 초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