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GGS KAIST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

© 2023. KAIST GGGS. ALL RIGHT RESERVED.

김민석사과정
  • Bachelor’s Degree of Science in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2023)
AI 및 빅데이터 시뮬레이션 친환경 공유 모빌리티
김민 학생은 학부과정에서 컴퓨터 과학을 전공하였으며, 석사과정 이전 여러 교통 빅테이터 분석 및 시뮬레이션 연구에 참여한 경험이 있습니다.현재는 모빌리티 분야에서 딥러닝과 머신러닝을 활용한 탄소배출 저감 및 지속가능 기술 발전에 관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영헌석사과정
  • 한동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2024)
Climate AI 환경모니터링

Publication

  • Younghun Kim et al. (2024). FRIDAY: Mitigating Unintentional Facial Identity in Deepfake Detectors Gudided by Facial Recognizers.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VCIP.
  • Doughho Park et al. (2024). PECI-Net: Bolus segmentation from video fluroscopic swallowing study images using preprocessing ensemble and cascaded inference. Computers in Biology and Medicine. (Second author)
  • 김영헌 et al. (2024). 부분적 이미지 조작 증강 기법을 통한 딥페이크 탐지 일반화 성능향상.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김영헌 학생은 딥러닝 응용 연구에 열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부 과정 때는 컴퓨터 비전을 활용하여 의료 분야에서 의사들과 협업하여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습니다. 현재는 환경 분야에서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탄소 중립과 지속 가능한 기술 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김유진석사과정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 학사, 디자인 복수전공 (2021)
지속가능도시 공유 모빌리티 사용자 경험
김유진 학생은 지속 가능한 도시를 위한 저탄소 공유 모빌리티 연구에 관심이 있습니다. 특히 사용자들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 경험(UX) 관점에서 공유 모빌리티를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석사과정 이전에는 환경공학 및 산업디자인을 전공하였으며, 환경안전 분야에서 기업 자문 실무를 경험했습니다.
김지원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화학신소재공학 학사 (2023)
이산화탄소전환 CCUS 기술경제성평가
김지원 학생은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지속가능 기술 개발 연구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이산화탄소 포집과 전기화학적 전환을 통한 활용 분야를 연구 중입니다. 더 나아가, 이산화탄소 활용 기술의 개발 및 적용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 & 인증할 수 있는 방법론의 확립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김찬미석사과정
  • 서울시립대학교 국제관계학, 경제학 학사 (2022)
국제개발협력 지속가능도시 기후정의
김찬미 학생은 다양한 국제개발협력 실무 경험을 통해 기후변화 대응의 시급성을 체감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 도시를 연구하기 위해 녹색지대에 진학하였습니다. 도시를 물리적 공간으로서만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그 안의 사람을 생각하고 향하는 연구를 통해 기후 정의를 실천하고자 합니다.
김희연석사과정
  •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 학사, 정치외교학 부전공 (2021)
지속가능금융 에너지인프라자산투자 자산가치평가
김희연 학생은 지속가능금융 전반에 관심이 있으며, 특히 에너지 인프라 자산에 대한 환경 및 재무적 가치평가 방법에 관심이 있습니다. 학부과정에서 경제학을 공부하고, 졸업 후 SK경영경제연구소에서 2년 근무하며 기업 관점에서의 지속가능성 을 고민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금융 산업 이해관계자들에 에너지 인프라 자산에 대한 정확하고 일관성 있는 투자 정보를 전달하도록 하는, 궁극적으로는 탄소 중립에 기여하는 연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